자유게시판

미 국채 살 ‘큰손’이 없다…유동성 증발, 금융위기 도화선 될라

컨텐츠 정보

  • 조회 351
  • 댓글 2

본문

24조달러(약 3경원) 규모의 미국 국채 시장을 둘러싼 경고음이 쏟아지고 있다. 미 국채 시장의 유동성이 코로나19?초기 수준으로 악화하며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 재무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으나, 미국발 통화긴축 국면에서 시장의 ‘큰손’이 모두 자취를 감춘 만큼 전망은 어둡다는 평가다.

24일 <블룸버그> 집계를 보면, 블룸버그 미국 국채 유동성 지수는 최근?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2.5를 넘었다. 이 지표는 미 국채의 금리가 적정 수준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숫자가 클수록 유동성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코로나19?초기인?2020년?3.0을 넘었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진화에 나선 뒤?1.0?미만으로 안정된 바 있다. 지난달에는 미 국채?10년물 금리도?12년 만에 처음으로 장중 4%를 돌파했다.시장 수요가 국채 물량을 감당하지 못하면서 유동성이 증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계 최고 안전자산인 미 국채 가격이 추락하고 시장이 마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금융시장 전체가 불안에 빠질 위험도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지난?20일(현지시각) 낸 보고서에서 “미 국채 시장은 취약한 상태이며, 충격이 하나만 더 발생하면 시장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 재무부도 상황이 심각하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지난?12일(현지시각) “(미 국채 시장에서) 충분한 유동성이 없어지는 데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무부는 국채 거래를 촉진하기 위한 여러 조처와 더불어 재무부가 유동성이 특히 더 부족한 장기물을 되사는 ‘바이백’도 검토하고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걱정이 가시지 않는 분위기다. 일단 최근 수년간 국채 물량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 근본적인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증권산업금융협의회(SIFMA) 집계를 보면, 지난달 미국 국채 발행잔액은?23조7천억달러에 이르렀다. 코로나19?이전인?2019년 말(16조7천억달러)에 견줘?42%가량 늘었다. 이에 대한 수요는 당시 양적완화를 시행하고 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상당 부분 뒷받침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연준의 국채 보유 규모는 2조3천억달러에서 5조7천억달러로 증가했다.

문제는 이런 ‘큰손’들이 모두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는 점이다. 일단 ‘물가와의 전쟁’에 한창인 연준은 계속해서 양적긴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부터 매달 최대?600억달러씩 국채 보유 규모를 줄이고 있는데, 이는 지난 6∼8월 한도(300억달러)의 두 배다. 일본과 중국 등 미 국채를 많이 들고 있던 아시아 국가 중앙은행들도 환율 방어 등의 목적으로 국채를 내다팔고 있는 실정이다. 달러 강세가 계속되면서 외국인 개인 투자자들도 미 국채 매입에 부담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http://n.news.naver.com/article/028/0002611636
미 국채 살 ‘큰손’이 없다…유동성 증발, 금융위기 도화선 될라


관련자료

댓글 2
현재 토도사AD 토도사광고에서 무료배너홍보 및 홍보게시판 신청받아 홍보하실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https://www.todosa.co.kr
주간 인기 게시물

토도사 아무말 대잔치

Total 8,991 / 10 Page
RSS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